네이버 공채는 24년 2월 졸업예정자도 지원자격에 포함되어 지원하게 되었다.
나는 TECH 분야를 지원하였고, 4월 15일 토요일에 코딩테스트를 치르게 되었다.
코딩테스트
코딩테스트는 2시간 4문제가 출제되었다.
최근 코딩테스트의 흐름과 매우 유사한 유형들이 출제되었다.
- 구현
- DP
- DEQUE + 구현
- BFS/DFS (완전탐색?)
소마에서도 마찬가지로 1번 문제는 빡구현이 나오는 것 같다. 처음 문제를 읽어보았을 땐 할만한 것 같지만, 예외 사항이 까다롭게 존재하기 때문에 적절한 자료구조를 섞어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특히나 2시간 4문제, 적은 시간에 적은 문제를 출제하는 경우는 1번 + @를 해결해야 합격선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1번을 필히 풀어야 한다.
1시간 살짝 넘게 소요해 풀긴 했지만 많이 풀어보며 시간 단축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2번 문제는 DP 문제로 여러 테스트 케이스를 적어가며 해결했다.
2번 문제를 해결했을 때 30분 정도 남아있어 시간 상 3, 4번 중 한 문제를 골라 해결해야 했다.
3번 문제의 지문을 대충 읽자마자 DEQUE + 구현이 떠올랐지만 시간내에 구현을 깔끔하게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4번 문제를 읽어 보았는데, BFS와 DFS를 이용해 완전탐색으로 해결해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주어진 문제로 완전탐색을 돌기에 까다로워 끙끙대다 시간이 종료되어 마치게 되었다.
최종 후기
결국 1, 2번 두 문제를 풀었지만, 사실 2번도 테스트케이스는 통과했지만 확실히 풀었다고 생각이 들지 않는다. 분명 반례가 존재할 것 같은 느낌..
소마 코딩테스트와 시간, 문제 수가 같아서 그런지 유형도 굉장히 유사하다고 느꼈다.
코딩테스트를 응시하기 전에 여러 후기를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어렵게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맘 편히 응시하려 했지만, 예상을 벗어났다..
난이도는 전체적으로 실버 1 ~ 골드 정도로 생각된다. 하지만 시간이 매우 짧기때문에 문제 지문을 잘 읽고, 적절한 자료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야 시간 내에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나 최근 코딩테스트 유형에서 빡구현 문제가 자주 출제되기 때문에 구현 문제를 많이 풀어봐야겠다!
1차 코딩테스트는 합격했습니다! 분위기상 2솔 이상이 기본적인 커트라인인 듯싶습니다.
하지만 1솔 중에서도 합격하신 분이 몇몇 있으시고, 2솔 중에서도 불합격한 분들이 있어 자소서 비중이 어느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Diary &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 SERVER 밋업 2회 참가 후기 (0) | 2023.11.11 |
---|---|
현대자동차 소프티어 부트캠프 2기 코딩테스트 1, 2차 후기 (16) | 2023.06.30 |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4기 지원 면접 후기 (최종 탈락) (0) | 2023.03.26 |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14기 코딩테스트 1, 2차 후기 (0) | 2023.03.06 |
[원티드] 2022 3rd 쇼미더코드 후기 (0) | 2023.01.14 |